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 제안서를 IOC에 제출한 게 지난해 4월인데요. <br> <br>바로 일주일 전 북한이 탄도미사일 도발을 감행한 직후였습니다. <br> <br>그 제안서를 보면, 북한은 테러안전국가라면서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국가에서 치러지는 올림픽이 될 것이라고 표현한 대목도 있었는데요. <br> <br>염정원 기자 보도 보시고 아는 기자로 이어갑니다.<br><br>[기자]<br>문재인 정부가 서울시를 통해 IOC에 제출한 올림픽 유치제안서 28페이지. <br> <br>서울-평양의 장점으로 '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지역'이라고 꼽았습니다. <br> <br>남북 모두 총기를 규제하고 있는 국가로, 테러나 총기범죄가 없는 안전한 올림픽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 겁니다. <br> <br>테러 발생 위험도가 남한의 경우 99위, 북한 135위로 나타났다는 통계도 인용했습니다. <br> <br>이 통계에서 북한의 테러 위험 지수는 0점입니다. <br><br>싱가포르와 같은 135위임을 강조한 건데 쿠바와 벨라루스, 코소보 등도 모두 0점입니다.<br> <br>통계를 내기 어려운 국가들도 모두 135위로 묶여있어 통계의 오류 가능성이 있지만 북한을 마치 테러안전국가로 묘사한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북한의 사이버테러는 갈수록 정교해지고 있는데다, 하노이 노딜 이후엔 줄곧 무력시위로 위협을 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(2020년)] <br>"개성공업지구에 있던 북남공동연락사무소를 완전 파괴시키는 조치를 실행하였다." <br><br>[조선중앙TV(2020년)] <br>"남조선 것들과의 일체 접촉 공간을 완전 격폐하고…"<br> <br>2020년 9월 해수부 공무원 피격사건에도 이 계획은 추진됐는데, 특히 제안서를 IOC에 보낸 시점도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 일주일 뒤인 2021년 4월 1일이었습니다.<br> <br>북한의 거듭된 위협에도 정부는 제안서에서 올림픽이 북한의 경제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홍보했습니다. <br> <br>올림픽 개최를 통해 12만 명 분의 일자리가 생기고, 수십조 원의 경제 효과가 날 것이라며 장밋빛 전망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한효준 <br>영상편집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염정원 기자 garden9335@ichannela.com